Global Equity Issues 보고서 링크:
https://han.gl/N5tAJ텔레그램 링크:
https://t.me/ConsensusValueCreation1 주요 내용-미국 시장에 관세 우려 일정 부분 반영. 정책 불확실성으로 높은 변동성 지속될 가능성
트럼프의 상호관세 발표와 중국의 보복 조치 발표 등으로 미국 무역정책 불확실성은 1기 당시 레벨을 압도하는 역대 최대치까지 고조
과거 위기 당시 국면과 비교시 미국 시장은 이미 관세 관련 우려를 일정 부분 반영. 다만 높은 변동성 국면이 더 길어질 가능성도 염두에 둘 필요
-반등하기 위해서는 협상 흐름이 필요. 중국에 대한 트럼프의 대응, EU의 조치 주목
협상 관련해서는 세 지역(중국, EU, 캐나다+멕시코)이 핵심. 중국의 34% 보복 관세에 대해 트럼프가 더욱 강도 높은 관세를 부과시 경기 우려 한층 강해질 전망
EU는 상호관세에 대한 대응을 시간을 두고 준비. 철강, 알루미늄 관세에 대한 대응으로 준비해 놓은 260억유로 규모의 수입품에 대한 관세는 4월 중순부터 예정대로 부과
-주요국들의 내수 부양책도 반등을 돕는 요인. 미국, 중국내 성장성 높은 분야 중심의 분산 투자 필요
미국 공화당은 감세 정책을 서두르려는 모습. 트럼프는 지지율에 신경을 안써도 공화당 의원들은 26년 중간선거를 앞두고 있음. 관세 영향을 상쇄 시켜줄 감세안 통과가 시급
중국의 경우 4월 중으로 개최될 중앙정치국 회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적극적인 재정, 통화, 소비 부양 등 전면적 경기 대응책이 발표될 가능성